'모든일에 옳고 그름'이
다 '나'에게 있는것이지
'위치'에 의하여 있는것이 아니니
이후로,
'모든일' 을 '잘 생각'하여 할지어다.
- 어느 옛어른의 말씀 -
천지종용지사도 자아유지하고
천지분란지사도 자아유지하나니
공명지정대와 자방지종용을 본받으라.
- 어느 옛어른의 말씀 -
해설 :
세상살이가 편안한것도 '내 스스로의 내탓'이오
세상살이가 불편한것도 '제 스스로의 제탓'이니
'제갈공명 의 공명정대함'과
'장자방 의 고요한 처신'을 본받으시오.
'병자기이발'
- 어느 옛어른의 말씀 -
해설:
'병은 자기(:스스로)로부터 '일어나는것(:발생하는것)'이다.'
결코, '걸리는것'이 아니고 '일어나는것'이다.
보충:
'대병'에는 안심, 안신,이 약이고
'소병'에는 사물탕팔십첩,이 약이고
'무병장수'에는 대인(:큰대, 어질인), 대의(:큰대, 의로울의),가 약이고
'스스로 치유'는 득기유도(:득도),가 약이다.
참조 :
1. " 병은 '제 믿음과 정성'으로 낫느니라. "
2. " 태을주를 세번 읽으면 병이 스스로 물러가고
읽을 여유가 없으면, 나를 세번 부르면 병이 스스로 물러 가리라. "
3. '도를 믿는것' 이 '약' 입니다.
4. '대부분의 질병'은 '무지(:없을 무, 앎 지) 와 '게으른 정신적 습관'에서
비롯된 결과입니다. <--어느 책에서.
5. '양약고구이어병 충언역이이어행' <--명심보감(:정기편).
: '좋은약'은 입에는 쓰나, 그 병을 잘 낫게 하고
'충직한 말'은 귀에는 거슬리나, 그 행함에 반드시 이로움이 있느니라.
( : 충언이 역이로되 이어행이요, 양약이 고구로되 이어병이니라. )
'모든 일'이 '욕속부달' 이라.
'사람기르기'가 '누에기르기'와 같으니
'잘되고 못되는 것' 은
다, '인공'에 있느니라.
- 어느 옛어른의 말씀 -